사회복지

’나는 누구인가?‘, 자기이해의 중요성과 단계별 실천 방법

차안나 2024. 1. 24. 20:49
반응형

 

조직 내에서 잘 유지되는 대인관계는 효율적인 협력과 긍정적인 업무 환경을 조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자기이해는 필수적인 요소이다. 이번 글에서는 조직 생활에서 원활한 대인관계를 위한 자기이해의 중요성에 대해 알아보자.

 

 

1. 자기이해의 중요성

 

(1)자기 인식과 이해

강점과 약점 인식: 자기이해는 우리가 가진 강점과 약점을 인식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이를 통해 우리는 자신의 능력과 한계를 더 잘 이해할 수 있고, 다른 사람들과의 상호작용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가치와 신념 이해: 자기이해는 우리의 가치와 신념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이를 통해 우리는 자신의 행동과 태도를 다른 사람들과 조율하고, 서로의 차이를 존중할 수 있다.

 

(2). 감정 인식과 조절

감정 인식: 자기이해는 우리의 감정을 인식하는 데 도움을 준다. 우리는 자신이 어떤 감정을 느끼고 있는지 알고, 그것이 다른 사람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인식할 수 있다.

감정 조절: 자기이해는 우리의 감정을 조절하는 데 도움을 준다. 우리는 자신의 감정을 잘 관리하고, 다른 사람들과의 상호작용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3). 의사소통 개선:

자기이해는 의사소통을 개선하는 데 도움을 준다. 우리는 자신의 성향과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을 이해하고, 다른 사람들과의 의사소통에서 더 원활하게 대응할 수 있다.

타인 이해: 자기이해는 타인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우리는 자신의 관점을 넘어서 다른 사람들의 관점을 이해하고, 그들과의 대화에서 상대방의 감정과 요구를 더 잘 이해할 수 있다.

 

2. 자신을 탐색해 보는 질문

 

자기이해를 통해 자신의 문제나 자기한계, 스스로의 경험으로부터 자유로워져야 한다. 적어도 자신에게 어떤 문제가 있는지에 대한 인식이 없다면, 다른 사람들 과의 관계에서 자기 문제에 봉착하게 된다. 그 문제로부터 스스로 벗어나지 못하기 때문에 역전이가 일어날 수 있다. 즉, 다른 사람의 태도에 대해서 지나친 비난을 하거나 가치판단을 하게 되어 다른 사람의 문제에 대해 자신의 분노를 폭발시키게 된다. 이런 문제가 있는 사람들은 다음의 질문에 답해보며 자신을 탐색해 볼 수 있다.

 

Ÿ 나의 생명력(에너지, 정신력)은 무엇으로부터 나오는가?

Ÿ 나는 무엇을 향한 열망을 갖고 사는가?

Ÿ 나는 무엇을 성취하기 위해 살아가고 있는가?

Ÿ 나는 무엇을 하면서 또는 무엇을 생각할 때 자유로움을 느끼는가?

Ÿ 나의 삶에 대한 기대가 있다면 무엇인가?

Ÿ 나의 부모님, 나의 형제, 나의 친인척, 나에게 중요한 의미를 주는 사람에게 갖는 기대가  있다면 무엇인가?

Ÿ 살아가면서 충족될 수 없었던 기대가 있었다면 무엇인가?

Ÿ 나에게 중요한 의미를 주는 사람은 나에게 어떠한 기대를 갖고 사는가?

Ÿ 나는 살아가면서 어떠한 신념(믿음)을 가장 소중하게 생각하는가?

Ÿ 나는 내게 주어진 현실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으며 이겨 내려고 하는가?

Ÿ 최근 나를 압도시킨 감정(: 기쁨 분노, 두려움, 억울함, 슬픔, 아픔 등)이 있었다면 무 엇이었는지 설명할 수 있는가? 그러한 감정에 대해 어떻게 반응(대처)했는가?

Ÿ 나의 가족들은 서로의 감정(: 기쁨 분노, 두려움, 억울함, 슬픔, 아픔 등)에 대해 어떻 게 반응하는가?

 

3. 결론

원활한 대인관계는 조직 내에서의 협력과 성과에 큰 영향을 미친다. 자기이해는 이러한 대인관계를 구축하고 유지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자기 인식과 이해, 감정 인식과 조절, 의사소통 개선을 통해 우리는 조직 내에서 더 효과적으로 협력하고 긍정적인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을 것이다.

 

 

#자기이해 #강점 #약점 #감정인식과 조절 #의사소통 #자신 탐색 #대인관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