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사는 사회적 책임을 가지고 사람들의 삶을 도울 수 있는 귀중한 직업이다. 그러나 사회복지사는 때때로 윤리적으로 복잡한 상황에 직면하게 된다. 예를들어 A는 발달장애인으로 경제관념이나 윤리의식이 거의 희박하여 지역사회에서 생활하면서 게임과 쇼핑에 생활비를 모두 탕진하고 남의 물건을 훔치기도 한다. 지역주민과 지속적으로 마찰을 일으키면서도 계속해서 지역사회에서 생활하기를 고집한다. A에 대한 결정을 내리기 위해 고려해야 할 요인을 기초로 어떻게 지원을 해야 할지 살펴보자.
1. 윤리적 결정을 내리기 위해 고려해야 할 요인
고객의 이익과 안녕: 사회복지사는 A의 이익과 안녕을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한다. A의 복지와 발전을 위해 결정을 내리는 것이 중요하다. A의 권리와 자율성을 존중하고, A의 복지를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결정을 내리는 것이 필요하다. A의 이익을 위해서는 지역사회에 계속 살게 해 주어야 하나 안녕을 위해서는 다른 사람의 돌봄이 필요하다.
윤리적인 원칙과 가치관: 사회복지사는 윤리적인 원칙과 가치관을 기반으로 결정을 내려야 한다. 예를 들어, 정의, 공정성, 자율성, 신뢰 등과 같은 가치관을 고려하여 윤리적인 판단을 내려야 한다. 자율성 측면으로 보면 A의 경우 지역사회에 계속 살게 해 주어야 한다.
법적인 규제와 규정: 사회복지사는 해당 국가 또는 지역의 법적인 규제와 규정을 준수해야 한다. 법적인 측면에서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결정을 내려야 한다. 현재 법규에서는 탈시설을 원하면 지역사회에서 사는 것이 허용되므로 지역사회에 계속 살게 해 주어야 한다.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 사회복지사는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결정을 내려야 한다. 이를 위해 최신 연구, 베스트 프랙티스, 업계 표준 등을 고려하여 결정을 내릴 수 있다. A의 경우 현장의 사회복지사들은 시설 입소를 권장 한다.
이해관계자의 의견과 관점: 사회복지사는 관련 이해관계자들의 의견과 관점을 고려해야 한다. 이를 통해 다양한 관점을 감안하고 상황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A 주변의 지역사회 주민과 가족들은 시설 입소를 원하고 있다.
윤리위원회나 전문가의 조언: 조직 내에 윤리위원회나 전문가들의 조언을 구하는 것이 유용할 수 있다. 이들은 윤리적인 결정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조언을 제공할 수 있다. A의 경우 윤리위원회나 전문가는 지역사회에 계속 살게 해 주라고 조언한다.
사회적인 영향과 결과: 결정은 보다 큰 사회적인 영향과 결과를 고려해야 한다. 예를 들어, 사회적인 불평등을 완화하는 결정 또는 사회적 가치를 증진시키는 결정을 내리는 것이 중요하다. 이런 측면에서 보면 A의 경우 지역사회에 계속 살게 해 주어야 한다.
2. 결론
이러한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사회복지사는 윤리적인 결정을 내려야 한다. 그러나 결정은 항상 명확하거나 쉬운 것은 아닐 수 있으며, 상황에 따라 타협이나 어려운 선택을 해야 할 수도 있다. 하지만 윤리적인 가이드라인을 준수하고, 팀 협력과 상담을 통해 해결 방안을 모색하며, 전문적인 교육과 자기 발전에 투자함으로써 사회복지사는 윤리적 딜레마에 대응할 수 있다.
#사회복지사 #윤리적 딜레마 #대응방안 #윤리적 결정 #윤리적 원칙 #이해관계자 #윤리위원회 #사회적 영향
'사회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트레스, 안녕! 스트레스 관리의 핵심 가이드 (0) | 2024.01.26 |
---|---|
’나는 누구인가?‘, 자기이해의 중요성과 단계별 실천 방법 (1) | 2024.01.24 |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리 사회가 시급하게 할 일 (0) | 2024.01.22 |
장애인 복지에서 탈시설의 종류와 문제점 및 개선방안 (0) | 2024.01.21 |
복지국가 위기의 배경과 극복 방안 (0) | 2024.01.20 |